본문 바로가기
기자생각

2022년 사회적기업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124개)

by 사회적경제편집국장 2023. 2. 12.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2022년 사회적기업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사회적기업들은 기본적으로 사회적가치를 추구하고 있지만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 제출은 의무사항이 아닌 관계로 이번에 발표한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 중에서 정보 한하여 발표하였다.

 

전체 124개의 사회적기업을 발표하였는데 전체 사회적기업 숫자에 비하면 참여율이 너무나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가치 평가로 인한 불이익이 없다 보니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참여 숫자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 124개 참여 기업 중 예비사회적기업이 17개이고 107개가 인증 사회적기업이다.

 

지역별로 살표보면 강원도 6개( 사회적협동조합 원주진로교육센터새움, 한국자재산업, 영월한옥협동조합, 낭만사, 프리즘, 문화창작소광부댁협동조합), 

 

경기도 13개(행복더하기, 회적적정의 평화배움연구소 에듀피스, 안산시민햇빛협동조합, 식판천사, 일렉콤, 다울사회적협동조합, 위드플러스시스템, 리맨, 에이스엘이디, 담심포, 청보농업회사법인, 티알멀티스포츠센터, 한국교육공예저작원협회), 

 

경남 4개(사회적협동조합창원도우누리, 복을만드는사람들, 케이에프, 좋은아침), 

 

경북 38개(코러싱, 채움푸드, 메타에듀시스, 알배기협동조합, 가경사회서비스지원센터, 경상북도사회적기업종합상사협동조합, 과일드림, 사회적경제허브센터, 알브이핀, 스마트인디지털, 아누리, 향기내는사람들, 글로벌투게더경산, 앤클로이토탈뷰티, 낭만연구소, 나눔과돌봄사회서비스지원센터, 푸드앤디자인협동조합, 그린벨트의친구들, 드리돌봄센터, 행복전통마을, 부창산업, 위즈, 문경미소, 영덕돌봄협동조합, 착한영광버섯마을, 제월아트체험센터, 동민산업협동조합, 씨앗드림, 식판천사, 두빛나래협동조합, 나눔과섬김, 문화콘텐츠생산자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더노크교육연구소, 포아시스, 수플러스, 돌봄사회서비스센터, 이공이공, 맑음히어링테크)

 

광주 3개(김치타운, 그래픽스, 청화식품)

 

대구 2개(영남선비문화수련원, 교육협동조합세움

 

대전 2개(가치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미담장학회)

 

부산 1개(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서울 30개(행복나래, 오엠이터랙티브, 에스에스모빌리티, 가온아이피엠, 스페셜아트, 희망하우징, 샤인임팩트, 은빛작업장, 좋은날, 공공공간, 더쇼퍼, 언더독스, 한결사회적협동조합, 판이오, 한국사회혁신금융, 펀데이코리아네트웍스, 시니어앤파트너즈, 아워스토리, 공감만세, 세상에없는세상, 자연미약선연구, 마인즈그라운드, 무궁무진스튜디어, 말하는사람들, 더사랑, 메타비, 사회적협동조합공감과연대, 스프링샤인사회적협동조합, 아름다운커피, 라이프기획사협동조합

 

울산 4개(오렌지디자인, 우시산, 울산행복학교, 두드림협동조합, 코끼리공장)

 

인천 2개(한국전통문화예절원협동조합, 정약용컴퍼니)

 

전남 5개(지리산씨협동조합, 에듀펀플러스, 화탑영농조합법인, 순천만누룽지주식회사, 아뜰리에이화)

 

전북 3개(미소능력개발센터, 꿈드래장애인협회, 한국주거복지사회적협동조합)

 

충남 4개(라임프레즈, 열린문디자인, 지역상권육성사회적협동조합, 아이미소)

 

충북 6개(다솔, 공공디자인이즘, 부강이엔에스, 보듬, 행복나무통합심리상담센터, 힐링플레이) 로 나타났다. 본지에서는 사회적가치 평가에 참여한 기업을 하나하나 기사화 하려고 계획하고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서 더 많은 사회적기업이 사회적가치 평가에 참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