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경제10

안정민 광주마을기업연합회장_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회적기본법토론회 https://youtu.be/gDjifgFtdcc사회적경제기본법 입법전략과 광주사회적경제활성화 방안 / 2024년7월5일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관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사)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발제자는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김영식 사무국장으로 “사회적경제 기본법 입법추진 현황 및 주요쟁점”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를 하였다. 토론으로는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및 지역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조석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고 토론자로는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김기대 이사장,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고진석 상임대표, 나주대학교 지역사회복지과 박상하교수, 광주마을기업연합회 안정민 회장.. 2024. 7. 8.
박상하 나주대학교지역사회복지과교수_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회적경제법 입법토론 https://youtu.be/91nDlLs8RgU사회적경제기본법 입법전략과 광주사회적경제활성화 방안 / 2024년7월5일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관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사)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발제자는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김영식 사무국장으로 “사회적경제 기본법 입법추진 현황 및 주요쟁점”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를 하였다. 토론으로는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및 지역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조석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고 토론자로는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김기대 이사장,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고진석 상임대표, 나주대학교 지역사회복지과 박상하교수, 광주마을기업연합회 안정민 회장.. 2024. 7. 8.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53차 사회적경제콜로키움]김영식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장 https://youtu.be/tjmvbNjv9KQ 사회적경제기본법 입법전략과 광주사회적경제활성화 방안 / 2024년7월5일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관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사)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발제자는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김영식 사무국장으로 “사회적경제 기본법 입법추진 현황 및 주요쟁점”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를 하였다. 토론으로는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및 지역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조석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고 토론자로는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김기대 이사장,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고진석 상임대표, 나주대학교 지역사회복지과 박상하교수, 광주마을기업연합회 안정민 회.. 2024. 7. 8.
김기태한국협동조합연구소이사장[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53차 사회적경제콜로키움] https://youtu.be/vLqA4LLl30U 사회적경제기본법 입법전략과 광주사회적경제활성화 방안 / 2024년7월5일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주관 :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사)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발제자는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김영식 사무국장으로 “사회적경제 기본법 입법추진 현황 및 주요쟁점”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를 하였다. 토론으로는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및 지역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사)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조석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고 토론자로는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김기대 이사장,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고진석 상임대표, 나주대학교 지역사회복지과 박상하교수, 광주마을기업연합회 안정민 회.. 2024. 7. 8.
윤병태나주시장과 나주시사회적기업협회장 김미선대표 사회적경제발전 논의 나주시사회적기업협회 회장 두레박협동조합대표 김미선과 사)농어촌정보화전남협회 이종호회장, 나주시사회적기업협회 사무국장 삶앤스토리 대표 박찬규, 사회적경제방송 제갈영국장은 3월29일 윤병태 나주시장을 면담하였다. 윤석열정부들어서 위기를 맞고 있는 산업이 많치만 사회적기업 생태계가 흔들릴 정도의 타격을 입은 상황에 과연 나주시는 사회적기업들의 현안 문제에 대해 나주시 자체적인 자구책이 있는지를 묻고 향후 좀더 노력해 달라는 의미로 대담을 가졌다. 사회적기업들은 일자리 지원금 예산 삭감이 가장 큰 문제인데 나주시에서는 어떠한 지원책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우리가 예상했던 예상치를 전혀 빛나가지 않고 대책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윤석열 정부와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예산을 깍는데 나주시가 할 수 있는 일은 거.. 2024. 3. 30.
제5회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정기총회 개최 제5회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정기총회 개최 순천시민협력센터 3층. 2024.01.30 전남사회적기업협회는 2024년 1월30일 16시 순천시민협력센터3층에서 제5회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현장참석과 위임참석 조합원 70여 기업이 참석하여 제갈영 사무처장의 성원보고와 함께 정기총회를 순조롭게 진행하였다. 이창환 전남사회적기업협회 회장의 인사말과 함께 류세택 감사의 감사보고를 받고 박동현 총회준비위원장의 신임 회장선출 그리고 여러가지 안건토의가 있었다. 모든안건들이 원할하게 통과 되면서 제5회 정기총회를 큰 불협화음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이번 정기총회 전 이창환 회장의 연임 사양으로 인해 이사회에서 신임 회장으로 거론 되었던 순천지역 사회적기업 대표가 있었으나 기업의 상황과 개인적인 문제로 전남사회적.. 2024. 2. 3.
나주시공익활동지원센터 지역공동체활성화 사업공모, 총예산 6,300천원으로 사전컨설팅 제공 나주시공익활동지원센터는 3월22일 까지 나주시지역공동체활성화 주민참여사업을 공모한다. 2017년 부터 매년 지역주민들의 공동체활성화를 위해 공모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는 6,300천원 예산으로 지역주민들 모임형성 및 공동체 활동에 지원하고 민간 공유공간 지정 사업을 수행한다. 3월2일과 3월3일 사전 설명회를 거치고 공모사업에 대한 사전 컨설팅이 3월6일에서 3월17일까지 시행 한 후에 접수하게 되는데 사전 컨설팅 기간에 사업 선정시 변수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이라면 사업 계획서만 받고 심사하여 선정하는 과정으로 결정이 되는데 사전 컨설팅 기간이 의욕은 있으나 계획서 작성이 어려운 분들에게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이나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친 조직들에게는 지루한 시간들로 느껴 질 수.. 2023. 3. 6.
김대중교육감"전라남도교육청이 변했어요"사회적기업에 대한 시선 집중 전라남도교육청은 2022년 주인이 바꼈다. 김대중교육감으로 변경 되면서 그동안 말로만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이야기 했던 전라남도교육청이 얼마나 바꼈을까? 전라남도교육감이 신경 쓴다고는 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형식적인 립서비스에 그치고 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사회적경제 지원이 위축되고 있고 정부 민간 할것 없이 사회적경제라는 문구를 지우기에 급급하고 기존의 결정된 사업들도 백지화하는 추세이다. 교육청은 전통적으로 폐쇄적인 조직으로 유명하다. 일반 공무원과는 다른 그들만의 언어와 가치관을 가지고 끼리끼리 문화가 아직도 끊이지 않는 곳으로 유명하다. 교육청 본연의 업무 자체가 교육이라는 특수 업무에 집중 되어 있다보니 지역이나 사람은 항상 뒷전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선.. 2023. 3. 6.
전남도청 나주혁신도시 사회적가치실천협의체 구성 노력 년간 2회 이상 또는 사안 별로 수시 회동 요청 전라남도 사회적경제과는 나주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전남형 사회적가치실천협의체를 구성 하고자 2월16일(목) 간담회를 가졌다. 전남 사회적경제 최병남 과장은 “공공기관들의 어려운 상황속에 있음을 인지한다. 기존의 사회공헌 사업 진행시 사회적 경제기업과 함께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했다. 사회적기업의 특성과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어떤 면에서는 함께할 수 있는 사업들이 많다. 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사회적 경제기업들이 공공기관에서 어떠한 사회공헌 사업을 주로 하는지 모르고 매년 다른 방향을 설정하여 사업을 수행하다 보니 사회적 가치창출 사업을 진행하는데 같이 하자고 제안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공공기업이 사회공헌 사업을 할때 지출하는 예산을 동일한.. 2023. 2. 16.
행복나래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 본 보고서는 2022 년도 사회적기업 성과측정 지표 (SVI, Social Value Index) 측정 결과를 요약한 보고서로,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종합적인 가치를 이해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사회적기업 성과측정 지표(SVI)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성과와 그 영향을 보다 종합적·객관적으로 측정하고자 마련된 지표입니다. 사회적기업 성과측정 지표(SVI)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이지(www.socialenterprise.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측정 기준 연도: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성과를 측정하였습니다. 보고서 구성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사회적기업 성과측정 지표(SVI, Social Value In.. 2023. 2. 13.